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네트워크

(14)
무선 랜 이해하기 목표 무선 랜의 연결 및 통신 구조를 이해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이해한다. 무선 랜의 연결 형태를 이해한다. 무선 랜의 규격을 이해한다. 채널을 이해한다. 무선 랜(Wireless LAN) 유선 네트워크와 달리 케이블이나 선이 필요 없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입니다. 무선 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와 무선 클라이언트(Wireless Client)로 구성되며, 클라이언트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합니다. 무선 랜은 IEEE 802.11(WiFi) 표준에 따라 작동합니다. ( + 802.15(Bluetooth) ) 무선 랜은 이동성이 뛰어나며,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와 관리가 용..
네트워크 전체 흐름 살펴보기 목표 OSI 모델의 전체 흐름을 이해한다. 웹에 접속할 때 이루어지는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이해한다. 전체흐름 (응용 계층)URL 입력 후, Enter키를 누르면 캡슐화 시작 -> (전송 계층) TCP 헤더(출발지 포트 번호, 도착지 포트 번호)가 붙음, 이렇게 TCP 헤더가 붙은 데이터를 '세그먼트'라고함 -> (네트워크 계층) '세그먼트'에 IP 헤더(출발지 IP 주소, 도착지 IP 주소)를 붙이며, 이를 'IP 패킷' 이라고 함 -> (데이터 링크 계층) '이더넷 헤더'가 추가되며, 이를 '이더넷 프레임' 이라고 함 -> (물리 계층) '랜카드'를 사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 (라우터 A) 1.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 비교 2. 주소가 같다면..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목표 응용 계층의 역할을 이해한다 웹 서버의 구조를 이해한다 DNS의 이름 해석 구조를 이해한다 메일의 송수신 구조를 이해한다 응용 계층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전자메일, 웹 브라우저,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응용 계층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하위 계층들을 사용하고, 이 데이터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고, 전송을 관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계층은 최종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름해석(Name Resolution)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이름 등과 같은 이름을 기반으로 해당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 2 목표 전송 계층의 역할을 이해한다.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을 이해한다. TCP를 이해한다. UDP를 이해한다. UDP란? UDP(Universal Datagram Protocol)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하나로, *데이터그램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UDP는 TCP와 달리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지 않고, 흐름제어, 오류제어, 재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UDP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여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UDP는 실시간 스트리밍, DNS(Domain Name System) 등 데이터 전송 속도가 중요하고 데이터의 손실이나 재전송이 큰 의미가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Internet Protocol Sta..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 1 목표 전송 계층의 역할을 이해한다.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을 이해한다. TCP를 이해한다. UDP를 이해한다. 전송 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입니다. -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 -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 데이터를 세그먼트(Segment)라는 단위로 나누고, 수신 측에서 이를 재조립하여 상위 계층에 전달하며,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있습니다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적인 통신 방식..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 2 목표 IP를 이해한다 라우터를 이해한다 IP주소를 이해한다 서브넷을 이해한다 라우팅을 이해한다 공인 IP 주소, 사설 IP 주소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IP 주소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공인 IP 주소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로부터 할당받은 고유한 IP 주소를 의미하며, 인터넷 상에서 공개적으로 사용됩니다.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유일하며, 모든 인터넷 사용자들이 해당 IP 주소를 통해 해당 장치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사설 IP 주소 개인이나 기업 내부에서 사용되는 IP 주소를 의미합니다. 사설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직접적으로 접속이 불가능하며,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됩니다. 사설 IP 주소는 공인 IP 주소와는 달리 중복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설..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 1 목표 IP를 이해한다 라우터를 이해한다 IP주소를 이해한다 서브넷을 이해한다 라우팅을 이해한다 네트워크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OSI 7계층에서 3번째 계층으로,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데이터링크계층도 데이터를 전달하지만,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만 가능하며 다른 네트워크와는 불가능합니다. ) 이를 위해 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기능으로 라우팅(Routing)과 패킷 전송(Packet Forwarding)이 있습니다. 라우팅: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거치는 경로를 결정 패킷 전송: 은 경로를 결정한 후, 목적지로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 2 목표 이더넷을 이해한다. CSMA/CD 방식을 이해한다. MAC 주소를 이해한다. 스위치를 이해한다. 충돌 도메인을 이해한다. 이더넷 표준을 이해한다. 전이중 통신, 반이중 통신 전이중 통신: 동시에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방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화통화나 인터넷 화상통화와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 방식은 동시에 송신과 수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화가 끊김 없이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어집니다. (허브의 경우 충돌이 일어날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만 사용합니다.) 반이중 통신: 송신과 수신이 번갈아가면서 이루어지는 방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무전기나 대화형 게임에서 채팅을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 방식은 송신과 수신이 번갈아가기 때문에 상대방이 이야기할 때는 들어야 하고..

728x90
반응형
LIST